본문 바로가기
소재부터 완성까지

초보자를 위한 원단 용어 사전: 헷갈리는 용어 20가지 완벽 정리

by 투파이브원 2025. 5. 16.

다양한 색상의 원단

원단 기초 용어 정리: 실무에 꼭 필요한 초보자 필수 개념 20선

원단, 섬유, 봉제, 패턴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한 초보자들이 가장 먼저 겪는 혼란은 바로 용어입니다.
‘경사와 위사’, ‘재생 섬유와 합성 섬유’, ‘직물과 편물’ 같은 단어들이 아무 설명 없이 튀어나오면 당황스럽기 마련이죠.

하지만 원단 용어는 단순한 단어 그 이상입니다.
정확한 개념을 알고 있어야 올바른 원단 선택, 재단, 봉제, 세탁, 보관까지 전체 의류 제작 과정에서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실무와 학습에서 자주 등장하는 20개의 핵심 원단 용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한 번 정리해두면, 앞으로 원단 관련 공부가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1. 원단(Fabric)

옷이나 커튼처럼 형태를 가진 직물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실로 만들어진 모든 조직 형태(직물, 편물 포함)를 포함하는 단어로, 실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2. 섬유(Fiber)

가장 작은 단위로, 실을 이루는 가늘고 긴 재료입니다.
면, 울, 폴리에스터 등 모든 원단은 이 섬유에서 시작합니다.

3. 실(Thread, Yarn)

섬유를 꼬아서 만든 것이 실입니다.
직조하거나 뜨개질할 때 사용하며, 실의 굵기와 성질이 원단 특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4. 직물(Woven)

실을 경사(세로)와 위사(가로) 방향으로 직각으로 교차시켜 만든 원단입니다.
셔츠, 슬랙스 등 각 잡힌 옷에 적합합니다.

5. 편물(Knit)

실을 고리처럼 연결해서 만든 원단으로, 신축성과 유연성이 뛰어납니다.
티셔츠, 니트, 트레이닝복 등에 주로 쓰입니다.

6. 경사(Warp)

직물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실입니다.
섬유의 강도와 조직의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7. 위사(Weft)

직물에서 가로 방향으로 들어가는 실입니다.
경사와 교차하면서 직물의 짜임을 완성합니다.

8. 시접(Seam Allowance)

봉제를 위해 패턴보다 여유를 둔 부분입니다.
봉제선에서 0.5cm~1.5cm 정도 더하여 재단합니다.

9. 바이어스(Bias)

직물의 결 방향과 45도 비스듬한 방향입니다.
신축성이 높아 곡선 부분이나 유연한 디자인에 많이 사용됩니다.

10. 그레인라인(Grain Line)

패턴지에 표시된 원단의 결 방향 표시입니다.
정확히 맞춰 재단해야 옷의 형태가 틀어지지 않습니다.

11. 프리슈링크(Pre-shrink)

재단 전에 원단을 미리 세탁해 수축을 유도하는 작업입니다.
세탁 후 옷이 줄어드는 현상을 예방합니다.

12. 텐셀(Tencel)

유칼립투스 원료로 만든 재생섬유로, 부드럽고 친환경적인 성질을 가집니다.
레이온과 혼동하기 쉽지만 내구성과 촉감이 더 좋습니다.

13. 스티치(Stitch)

재봉틀이나 손바느질로 만든 바느질 선을 의미합니다.
직선, 곡선, 되돌아박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14. 인타록(Interlock)

두 겹의 원단이 서로 겹쳐진 형태의 편직 방식입니다.
두툼하고 부드러워 이너웨어에 자주 쓰입니다.

15. 트윌(Twill)

사선 방향의 조직이 있는 직물입니다.
데님, 치노 팬츠 등에 사용되며 내구성이 좋습니다.

16. 저지(Jersey)

가장 일반적인 니트 원단으로, 티셔츠에 자주 쓰입니다.
신축성이 좋고 가볍습니다.

17. 덕(Duck)

두껍고 단단한 면직물로, 가방이나 아우터에 적합합니다.
캔버스와 비슷한 느낌입니다.

18. 리넨(Linen)

마 식물에서 얻은 섬유로, 통기성과 흡습성이 뛰어납니다.
여름용 의류에 적합하지만 구김이 많습니다.

19. 합성섬유(Synthetic Fiber)

석유 등 화학 물질로 만든 섬유입니다.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등이 있으며 강하고 세탁에 강합니다.

20. 재생섬유(Man-made / Regenerated Fiber)

자연물(목재 펄프 등)을 화학적으로 가공한 섬유입니다.
레이온, 텐셀, 모달 등이 해당되며 천연과 인공 사이의 특징을 가집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소개한 20개의 원단 용어는 패션디자인, 의류 제작, 봉제 실무를 막 시작한 분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기본 지식입니다.
이 용어들만 정확히 이해해도, 원단을 고르고, 패턴을 배치하고, 봉제할 때 실수가 줄어듭니다.
앞으로 더 전문적인 용어나 기술을 익히기 전, 이 기본 용어부터 탄탄히 정리해두면 의류 제작의 모든 흐름을 훨씬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여름철 필수! 린넨 원단의 장점과 관리 노하우

 

여름철 필수! 린넨 원단의 장점과 관리 노하우

여름철 필수! 린넨 원단의 장점과 관리 노하우여름이 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원단, 바로 ‘린넨(Linen)’입니다. 통기성이 뛰어나고 촉감이 시원해 한여름에도 몸에 들러붙지 않는 특성 덕분

251-zerofour.tistory.com

 

 

지속 가능성과 감성을 겸비한 섬유, 텐셀(Tencel)의 모든 것

 

지속 가능성과 감성을 겸비한 섬유, 텐셀(Tencel)의 모든 것

텐셀 원단 완전 정리: 지속 가능성과 부드러움이 공존하는 섬유지속 가능성과 감성적인 부드러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시대에서 '텐셀(Tencel)'은 패션 업계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 사이에서도 주목

251-zerofour.tistory.com

 

원단의 기초 지식 : 직물 vs 편물

 

원단의 기초 지식 : 직물 vs 편물

직물 vs 편물: 초보 디자이너를 위한 원단 짜임의 기초 이해의류 디자인이나 패턴 작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기본 개념이 바로 ‘원단의 짜임 방식’입니다. 우리가 입는 옷의 촉

251-zerofour.tistory.com

 

초보 디자이너를 위한 시접 완벽 가이드: 봉제 완성도를 높이는 시접의 모든 것

 

초보 디자이너를 위한 시접 완벽 가이드: 봉제 완성도를 높이는 시접의 모든 것

시접의 기본부터 실전 활용까지: 초보 디자이너가 꼭 알아야 할 모든 시접 정보의류 제작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에게 시접은 ‘생략 가능한 여유’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사실상 옷의 내구성,

251-zerofou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