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보자를 위한 의류 제작의 핵심, 감 재기 완전 정복
의류 제작에서 가장 첫걸음은 '원단 구매'입니다.
그런데 막상 원단을 사러 갔을 때 “1마 주세요”라고 하면, 얼마만큼이 ‘1마’인지, 내 옷에 몇 마가 필요한지,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소량 생산 디자이너, 의류 제작 초보자들에게는 '감 재기'는 꼭 이해해야 할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감은 단위가 애매하게 느껴지고, 패턴을 기준으로 얼마나 원단이 필요한지 가늠하기도 어렵죠.
이 글에서는 패턴을 기준으로 실전에서 원단을 얼마나 구매해야 하는지, 시접과 여유분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마 단위와 cm 단위 변환까지 초보자를 위한 감 재기 전 과정을 완벽하게 정리합니다.
1. '감'이란 무엇인가?
'감'은 원단의 길이를 재는 단위입니다.
대부분의 원단은 폭이 정해져 있고, 이 폭은 고정된 상태에서 얼마나 길게 자를지를 ‘감’으로 표현합니다.
- 1마 = 90cm (일반적인 기준)
- 원단 가게에서 “2마 주세요” → 폭은 고정, 180cm 길이로 잘라줌
- 1야드 = 91.4cm → 해외에서 사용되는 단위
- 참고: 국내에서는 ‘마’와 ‘cm’ 단위를 혼용하지만, 정확한 재단을 위해선 cm 단위로 계산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2. 감 재기 전 꼭 체크해야 할 4가지
- 패턴의 총 기장
- 재단할 옷의 전체 길이(앞/뒤판 포함)를 모두 고려해야 함
- 예: 티셔츠 + 소매 + 시접 포함 → 최소 1.5~2마 필요
- 원단의 폭(Width)
- 90cm / 110cm / 150cm 폭이 일반적
- 같은 디자인이라도 폭에 따라 필요한 감이 달라짐
- 시접과 여유분 포함 여부
- 시접은 최소 1cm, 여유분은 여벌 10~20cm 정도 추가
- 실수 대비 원단 0.5마~1마 여유 확보 권장
- 원단의 방향성과 결
- 원단에 방향성이 있다면 무조건 한 방향으로만 재단해야 함
- 좌우대칭 가능 여부도 감 계산에 큰 영향
3. 패턴 기반 실전 감 계산법
셔츠 (여성 기본 셔츠 기준)
- 앞판 65cm + 뒷판 70cm + 소매 60cm + 칼라/커프스 40cm
- 여유분 포함: 약 2.2~2.5마 (150폭 기준)
원피스 (롱 원피스 기준)
- 총기장 120cm 이상 + 소매 + 장식
- 여유 포함 약 3.5~4마 (150폭 기준)
티셔츠 (남성 프리사이즈 기준)
- 앞판 70cm + 뒤판 70cm + 소매 60cm
- 여유 포함 약 2마
실전 팁:
- 재단 도안 없이 작업한다면 3마 기준으로 작업하고, 남은 원단은 보관하는 것이 경제적
- 작업 후 남은 원단으로 포켓, 배색, 장식, 라벨용으로도 활용 가능
4. 초보자를 위한 감 재기 실수 방지 팁
- 원단 폭을 무시하고 계산하는 실수
→ 110폭과 150폭은 감 계산에서 차이가 큼 - 시접 포함 여부를 빠뜨리는 경우
→ 봉제 후 사이즈가 작아지는 원인 - 소매 길이를 전체 기장으로 착각
→ 특히 래글런 소매 등은 계산이 복잡하니 주의 - 패턴 수량을 고려하지 않음
→ 앞/뒤판 1장씩만 필요한 것이 아님 (소매는 2장, 주머니 4장 등)
5. 원단 단위 변환 가이드 (텍스트 버전)
1마는 약 90cm입니다.
이는 국내 원단 상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준입니다.
1야드는 약 91.4cm입니다.
해외(특히 미국, 유럽)에서는 주로 ‘야드(yard)’ 단위를 사용합니다.
1인치는 2.54cm입니다.
인치(inch)는 소수점 단위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특히 패턴북이나 해외 봉제 도안에서 자주 등장하죠.
변환 공식 예시
- 야드를 센티미터로 바꾸는 방법
→ 야드 수 × 91.4 = cm
예: 2.5야드 = 2.5 × 91.4 = 약 228.5cm - 센티미터를 마로 바꾸는 방법
→ cm ÷ 90 = 마 수
예: 180cm = 180 ÷ 90 = 2마 - 마를 센티미터로 바꾸는 방법
→ 마 수 × 90 = cm
예: 3마 = 3 × 90 = 270cm
실무 활용 팁
- 원단 구매 전, 필요한 감을 마 단위와 cm 단위로 양쪽 다 계산해두면 실수 확률이 줄어듭니다.
- 특히 해외 원단 쇼핑몰에서 주문할 때는 야드 기준이 많기 때문에, cm ↔ 야드 변환을 미리 체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단위는 마(cm) 기준이지만, 정확한 제작을 위해서는 cm 단위로 정리하는 습관이 더 안전합니다.
6. 남는 원단을 활용하는 방법
- 포켓 패턴 만들기
- 브랜드 라벨, 안감, 스티치 실험용
- 나중에 보완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여분으로 확보
- 패턴 수정 시 실험 원단으로 사용
마무리하며
감 재기는 단순히 ‘얼마나 사야 하나?’의 문제가 아닙니다.
전체적인 의류 제작의 흐름, 실수를 줄이는 설계, 완성도 높은 작업물을 만드는 기초 체력 훈련이기도 합니다.
이번 콘텐츠를 통해 원단 감 재는 법을 제대로 익혀두면,
작업 전 당황하거나 추가 구매로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줄어들고,
예산 절약, 작업 효율 증가, 결과물 퀄리티 향상까지 모두 가능해집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재단 가위부터 쪽가위까지: 초보자가 알아야 할 가위 종류와 실전 사용 팁
재단 가위부터 쪽가위까지: 초보자가 알아야 할 가위 종류와 실전 사용 팁
재단 가위의 모든 것: 초보자를 위한 원단 가위 종류와 사용법 가이드재단의 정밀도는 가위에서 시작됩니다.초보 디자이너들이 흔히 간과하는 재단 도구 중 하나가 ‘가위’인데, 종류에 따라
251-zerofour.tistory.com
패턴 배치부터 원단 절약까지, 원단 폭 100% 활용하는 법
패턴 배치부터 원단 절약까지, 원단 폭 100% 활용하는 법
원단 절약하는 패턴 배치 노하우: 폭 100% 활용 전략의류 제작에서 ‘원단 폭’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제작 효율성과 원가 절감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폭이 조금만 달라져도 패턴 배치가
251-zerofour.tistory.com
초보 디자이너가 혼동하기 쉬운 원단 ‘결 방향’과 재단 실수 방지 팁
초보 디자이너가 혼동하기 쉬운 원단 ‘결 방향’과 재단 실수 방지 팁
초보자를 위한 원단 결 방향 확인법과 재단 실수 예방의류 제작에서 가장 흔하지만 간과하기 쉬운 실수가 바로 ‘원단의 결 방향’을 혼동하는 것입니다.초보 디자이너나 소량 제작 브랜드들은
251-zerofour.tistory.com
초보자를 위한 원단 구입처 및 구매 요령
원단 초보자를 위한 구입처 안내와 구매 팁 정리패션 브랜드를 시작하거나 옷을 제작하려는 많은 분들은 흔히 ‘디자인’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하지만 실제로 제품의 완성도를 좌우
251-zerofour.tistory.com
'소재부터 완성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디자이너를 위한 원단 종류별 재봉 실 조합 가이드 (1) | 2025.05.18 |
---|---|
의류 제작 과정 중 자주 실수하거나 혼동하는 심지 부착 실수 (0) | 2025.05.18 |
초보자를 위한 원단 방향 잡는 법: 실수를 줄이는 재단 전 체크포인트 (1) | 2025.05.18 |
의류 제작 초보자를 위한 실루엣 이해 가이드: 디자인의 형태를 읽는 법 (0) | 2025.05.17 |
초보자를 위한 원단 용어 사전: 헷갈리는 용어 20가지 완벽 정리 (1) | 2025.05.16 |
초보자를 위한 바느질 용어 완전 정복: 헷갈리는 용어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2) | 2025.05.16 |
초보 재봉사를 위한 바느질 용어 완전 정복: 헷갈리는 용어부터 실전 단어까지 (2) | 2025.05.16 |
의류 제작 초보자를 위한 봉제 순서 가이드: 실수 없는 제작 흐름 정복하기 (0) | 2025.05.15 |